명절이면 늘 극성을 부리는 문자 사기, 이번에도 설 연휴를 앞두고 새로운 수법들까지 등장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보통 문자 사기는 주로 스미싱 방식으로 이뤄집니다. <br /> <br />스미싱은 문자 메시지 (SMS)와 피싱 (Phishing)의 합성어인데요. <br /> <br />악성 애플리케이션 주소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해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하거나 전화를 유도하고, 금융 정보와 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범죄 방식이죠. <br /> <br />문자 내용도 다양합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설 연휴를 앞두고 설 선물 택배를 위장한 문자 메시지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"설 선물이 배송되었습니다. 배송주소를 확인하세요" 라는 문자메시지와 함께 URL 주소를 같이 보내는데, 절대 누르시면 안 됩니다. <br /> <br />바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 정부가 공개한 대표적 사례들을 더 살펴보면, 악성 앱 URL과 함께 설 선물 주소지가 잘못됐다며 앱을 다운로드 받아 주소지를 확인해달라거나, <br /> <br />보관 장소를 확인해달라고 문자를 보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택배 관련 문자는 스미싱 범죄 중에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데다가 지난 설 명절 기준, 80% 이상 급증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하셔야 합니다. <br /> <br />그 다음으로 많은 게 공공기관 사칭입니다. <br /> <br />'교통범칙금 벌점 과태료 조회' 혹은 '범칙금 고지서'등 각종 고지서를 위장한 메시지도 사용됩니다. <br /> <br />또 국제발신으로 전송된 문자로 '해외배송, 98만 7,000원 결제완료. 본인 아닐시 신고' 이런 문자도 많이 오는데요. <br /> <br />놀라서 첨부된 상담센터로 전화를 걸게 되면 카드나 계좌, 비밀번호 등이 유출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자 사기를 막기 위해 가장 중요한 건 문자에 포함된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 주소, 전화번호는 절대 누르지 말아야 한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그 외에도 스마트폰과 모바일 백신을 늘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고, 공식 앱 마켓이 아닌 다른 출처의 앱 설치는 피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설 연휴 전후로 발생하는 스미싱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단속을 강화할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명절 연휴 기간 사기가 의심되는 문자를 받거나, 악성 앱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국번 없이 118 상담센터에 신고하면 24시간 무료로 상담받을 수 있으니까요. <br /> <br />이 점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1716402289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